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겨울에 해가 짧은 이유 (낮이 짧은 이유)

by 김원준님 2022. 11. 28.
반응형


겨울에 해가 짧은 이유

겨울 낮이 짧은 이유

 

_

우리나라는 사계절을 가진 아름다운 나라 입니다.

통상적으로 겨울이라 하면 양력 시기는 12~2월, 음력 시기로는 11~1월을 지정 합니다.

겨울은 다들 아시다시피 1년 4계절의 마지막 네 번째 계절로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낮아 기온이 가장 낮은 계절 입니다.

 

교회력으로는 북반구에서는 대림 시기와 성탄 시기가 모두 들어가고 남반구에서 겨울은 무조건 연중 시기 입니다.

북방불교는 승려들이 음력 10월 15일부터 다음해 정월 대보름까지 동안거에 들어갑니다.

절기상으로는 입동(양력 11월 7~8일경)부터 이듬해 입춘(양력 2월 3~4일경) 전까지이며, 한국의 경우 기상학적으로 9일간 일평균기온의 이동 평균이 5도 미만으로 떨어진 뒤 올라가지 않는 첫날부터가 겨울에 해당된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여름과 반대로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고,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계절이자 기온이 가장 낮은 계절. 열대 지역에서는 의미가 없는 계절 구분 입니다.

여름에는 비가 내린다면 겨울에는 눈이 주로 내린지만 지구온난화 때문에 겨울에도 비가 내리곤 하며, 한국과 같은 동아시아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강수가 적고 대개 햇살이 쨍쨍하다고 합니다.

서울 등 중부지방 기준으로 소설(11월 22일)경부터 3월 12일경까지, 남부내륙(경상, 전라)과 강원영동은 12월 1일경부터 3월 5일경까지. 남해안과 대구는 12월 7일경부터 2월 25일경까지, 부산은 12월 22일경부터 2월 15일경까지, 제주도는 12월 27일경부터 2월 15일경까지 겨울 입니다.

 

그리고 경기북부와 강원영서는 11월 12일경부터 3월 20일경까지, 강원산간은 10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 겨울이며 북한의 경우 북한 남부 동해안은 11월 20일경부터 3월 23일경까지, 평양시는 11월 10일경부터 3월 30일경까지, 중강진은 10월 20일경부터 4월 15일경까지, 삼지연시 같은 개마고원 지역의 경우 겨울이 10월 10일부터 시작해 5월 5일에 끝난다고 합니다.

 

_

■겨울에 해가 짧은 이유

 

여름만 해도 해가 지는 시간대는 거의 저녁 8시 정도 해가 지고 새벽 5시만 되도 약간 밝은 해가 뜨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겨울만 되면 저녁 5시만 되도 해가 지고 해가 뜨는 시간도 아침 7시 정도로 해가 떠있는 시간이 매우 짧게 느껴집니다.

왜 이런지는 우선 낮 길이 변화의 차이를 정확히 알기 위해 여름과 겨울의 일출, 일몰 시각차를 살펴봐야 합니다.

한국 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일출, 일몰 시각 차이를 비교해 보면 2020년 2월 9일의 서울 일출, 일몰 시간은 각각 07시
28분과 18시 05분으로 2019년 7월 9일의 서울 일출, 일몰 시간인 05시 18분, 19시 56분에 비해 약 3시간가 량 차이가 납니다.

 

또한, 1년 중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동지'와, 가장 긴 '하지'를 비교해 보면 서울특별시 기준 동지(12월 21일)는 낮 길이가 9시간 33분이고 하지(6월 21일)는 낮 길이가 14시간 45분으로 무려 5시간 12분의 차이를 보입니다.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구의 자전운동과 공전운동
바로 지구의 다양한 운동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운동으로 지구의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이 있습니다.

 

공전운동: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 의 둘레를 도는 운동, 즉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것을 우리는 지구의 공전운동이라 하며 이러한 공전운동은 계절에 따른 일출 일몰 시각 변화, 계절의 변화 그리고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까지 가져옵니다.

 

자전운동: 지구 스스로 도는 운동을 뜻하며 지구의 자전운동은 태양의 이동을 통한 낮과 밤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_

또한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른 낮 길이 변화도 이유 중 하나인데, 남중 고도가 높을수록 낮 길이는 길고, 낮을수록 낮 길이는 짧습니다.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여름에는 더 큰 원을 그리며 이동해 낮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반해 겨울에는 가장 짧 은원 길이를 그려 그만큼 낮 길이가 짧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낮의 길이를 태양이 보이지 않는 시각에서 태양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각을 뺀 간단한 계산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_

참고로 TMI로 겨울은 사계절 중에서도 가장 싫어하는 사람들이 여름 다음으로 많은 계절 입니다.

여름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위험이 상당히 높은 계절이며 태양의 입사각도가 낮은데 구름 한 점 없이 맑을 경우 심한 눈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스키장처럼 눈이 쌓인 상태에서 자외선이 반사되면 약 4배 정도 증폭되어 매우 위험하며 겨울에도 외출할 때는 선크림을 바르거나 선글라스를 쓰라는 것이 바로 이 때문 입니다.

겨울은 건조함+자외선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에 걸리거나 악화되기 쉬운 계절이기도 하니 동파방지부터 온도관리 등 겨울철 안전에 신경 쓰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