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나 아기를 키우는 집에서는 신경 써야 할 것이 너무나도 많은데 특히 더운 여름철이 다가오면 아기가 있는 집에 에어컨 온도 설정은 어떻게 해야 좋은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보건복지부 블로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설명을 줬는데 이에
자세한 안내드리겠습니다.
_
방 온도 "에어컨 사용 가능, 바깥 온도와 5도 이상 차이 나지 않게"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방 안의 온도는 20-22도 사이인데 이 정도 온도가 적당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름에는 날이 더운 경우는 바깥 온도와 5도 이상 차이 나지 않게 방 안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데 겨울에는 난방하되 20-22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가능하면 25도는 넘기지 않게 주의하라고 합니다.
날이 더우면 에어컨을 사용해도 된다고 합니다.
다만 바깥 온도와 5도 이상 차이가 나지 않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데 그런데 이 온도를 꼭 지키지 않으면 큰일 나냐고 묻는데 그건 아니라고 합니다.
아기가 더워 보이면 방 온도가 높은 거라고 보시면 된다고 합니다.
아기에게 땀이 많이 나거나 머리가 땀에 젖거나 얼굴이 붉어지거나 호흡이 빨라지거나 몸에 발진이 생기면 너무 더운 것일 수 있는데 배를 만졌을 때 뜨겁다고 느껴지면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때는 에어컨 설정온도를 조금 더 낮춰도 된다는데 에어컨 찬바람이 아기에게 직접 닿지 않게 주의하시고 한 시간에 한 번 정도는 환기하고 에어컨 필터는 자주 청소해야 한다고 합니다.
돌 전의 아기라면 여름에 더워도 어른들보다는 하나 옷을 더 입히는 것이 좋습니다만 너무 더워하는 경우라면 가볍게 입혀도 되며 간혹 손발이 찬 경우도 있는데 몸통이 따뜻하다면 대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_
습도 "40-50% 정도 유지, 환기를 잘 시키는 것이 중요"
아기를 키우는 방의 습도는 6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가능하면 40-5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와 집먼지진드기가 잘 자랄 수 있고 바퀴벌레 같은 해충도 잘 자랄 수 있다고 합니다.
방까지 더워서 고온 다습하면 땀띠도 잘 생길 수 있고 기저귀 발진도 잘 낫지 않을 수 있다는데 습도가 낮으면 코도 건조해질 수 있고 호흡기 점막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코피도 잘 날 수 있으며 그리고 피부도 건조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여름철 습도가 너무 높은 경우 환기를 잘 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필요한 경우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에어컨을 이용해서 습기를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만일 곰팡이가 생긴 경우 잘 제거해야 하고 환기와 습도 낮추는데 더 신경 써야한다고 합니다.
에어컨을 사용하는 경우 습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한 시간에 한 번 정도 환기를 시키고 가습기나 젖은 수건 등을 사용해서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가습기 사용할 경우는 가습기 청결에 주의해야 하고 물은 반드시 깨끗한 물로 매일 갈아줘야한다고 합니다.
건조한 방안 습도를 높일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가습기의 김이 나오는 곳에 아기가 누워 있지 않게 위치를 잡는 것이 좋으며 방이 건조한 경우 아기와 어른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_
감기 예방 "손 잘 씻기,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마스크 사용 권장
여름은 원래 일 년 중에 감기 같은 호흡기 질환이 제일 적게 발생하는 계절입니다.
하지만 코로나로 거리두기가 지속되는 동안 호흡기 질환이 거의 돌지 않다가 최근 감기는 물론 독감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감기 예방에 제일 중요한 것은 손씻기와 마스크 사용이라고 합니다.
외출 후 귀가할 때나 화장실 다녀온 후 기침한 후 등 수시로 적어도 20-30초 정도 따뜻한 비눗물로 손을 잘 씻는 것이 감기 예방에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씻지 않는 손으로 얼굴을 만지지 않게 주의하라고 합니다.
_
본 설명은 보건복지부 블로그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드에어컨 비교 추천 안내 (0) | 2024.06.27 |
---|---|
눈다래끼 원인 치료 증상 정리 (콩다래끼 겉다래끼 속다래끼 등) (0) | 2024.06.27 |
미더덕 오만둥이 차이 구별 구분 방법 (0) | 2024.06.21 |
냉장고 보관하면 안되는 과일 야채 채소 정리 (0) | 2024.06.21 |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증상 감염경로 및 백신 치료 방법 (0) | 2024.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