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출산율 증가 이유 일본 출산율 한국 출산율 비교
_
최근 일본 출산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고학력 일본 기혼 여성 합계 출산율이 증가해서 그런데 고학력 일본 기혼 여성의 합계출산율이 19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 일본 사회가 반색하고 있다며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로, 인구 추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입니다.
30여 년 동안 인구 감소와 전쟁을 벌였지만 그동안 제대로 된 해법을 찾지 못한 일본에 실낱 같은 희망이 생긴 것이라며 언론사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2021년 출생 동향 기본 조사’에 따르면, 대졸 이상 학력인 기혼 여성의 출산율이 1.74명을 기록했으며 직전 조사인 2015년(1.66명)에서 증가했습니다.
2002년 2.21명에서 조사를 할 때마다 줄곧 감소하다가 19년 만에 반등에 성공한 것 입니다.
그동안 일본에선 대졸 이상 고학력 여성은 직장 생활과 육아를 병행하는 어려움 탓에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져 인구 감소의 주된 요인의 하나로 꼽혔는데, 이 연구소는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육아 환경 개선, 일하는 방식의 개혁 때문에 고학력 여성이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것이 원활해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즉 요약 하자면 과거 고학력 여성들은 일과 육아의 양립이 어려워 출산을 꺼렸지만 최근 근무 방식 개선 등으로 출산 환경이 좋아진 점이 일본 출산율 증가 요인 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에서도 2000년대 이후 대졸 이상 고학력 여성의 출산율이 대졸 이하 여성의 출산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여유로 인해 가사와 육아 대행 서비스 활용도가 높은 것이 배경으로 꼽혔습니다.
_
일본 출산율 한국 출산율 그래프 비교
과거에는 일본보다 한국이 출산율이 더 높았지만 이제는 일본 출산율을 따라잡기도 어려운 수준이 되버렸습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합계출산율은 중요한 수치 인데 이는 가임여성 한 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합니다.
지난해(2021)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관련 데이터를 집계한 이후로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1.34명으로 알려진 일본의 합계출산율 데이터 이대로 가면 “일본보다 한국이 먼저 소멸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_
1970년부터 2020년까지 취합된 데이터를 보면 회원국 모두 과거보다 출산율이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세계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는데
그중에 한국과 일본은 최하위권입니다.
1982년까지 OECD 평균치(2.84~2.15명)를 크게 상회(4.53~2.39명)하던 한국은 이후 40년 가까이 한 번도 역전하지 못했고, 일본은 해당 기간 단 한 번도 OECD 평균치를 넘어서지 못했습니다.
특히 일본은 1970년부터 1982년까지 2.16명에서 1.77명 수준으로 나타나 우리보다 10여 년 앞서 저출산 상태에 접어들었습니다.
합계출산율이 인구 대체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2.1명 미만이면 '저출산 국가'로 1.3명 미만이면 '초저출산 국가'로 봅니다.
2001년을 기점으로 한국출산율과 일본출산율의 양상이 바뀌었습니다.
한동안 일본과 엎치락뒤치락하던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01년 1.31명으로 일본의 1.33명보다 낮아졌고 지금까지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인구 전문가들이 한국의 저출산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게 2002년부터라고 말하는 이유입니다.
한·일 양국은 이미 이때부터 '초저출산 국가'로 접어들었습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 하락세는 2016년부터 더욱 가속화됐습니다.
1.17명이었던 것이 2020년 0.84명까지 곤두박질쳤습니다.
복합적인 요인이 있겠지만 해당 기간 급감한 혼인 건수가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합계출산율이 1명 미만으로 떨어진 건
OECD 회원국 중 한국이 유일
_
그럼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수십 년 뒤 한·일 양국의 인구는 어느 정도가 되는지 아시나요?
역시 정부 자료를 근거로 한 UN의 인구 데이터를 살펴보면 2080년 한국의 인구는 3,500만 명, 일본은 8,400만 명 정도로 추산됩니다.
지금보다 각각 1,600만 명과 4,200만 명이 줄어든 규모입니다.
반면 세계 인구는 2021년 78억 명에서 2080년 106억 명 수준으로 증가하는 걸로 나타나 확연히 대비됐습니다.
_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홍성한우바비큐페스티벌 일정 위치 장소 행사 내용 (0) | 2022.10.14 |
---|---|
세월호 예산 으로 요트체험 펜션 여행간 협동조합 시민단체 민간단체 (0) | 2022.10.14 |
상속받은 만큼 낸다 (상속세, 유산세 → 유산취득세 전환 검토) (0) | 2022.10.14 |
스맨파 바타 쌔삥 안무 표절 논란 (비교영상) (0) | 2022.10.14 |
래퍼 노엘 음주측정 거부 징역 1년 판결 (+노엘 장용준 프로필) (0) | 2022.10.14 |
댓글